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
-
[Python] 3-2 리스트 활용하기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16. 20:03
1. +를 사용하여 리스트 연결하기 a = [1, 2, 3] b = [4, 5, 6] c = a + b print(c) #[1, 2, 3, 4, 5, 6] print(a) #[1, 2, 3] - 그렇다 2. : 를 사용하여 리스트 자르기 t = [9, 41, 12, 3, 74, 15] t[1:3] #[41, 12] t[:4] #[9, 41, 12, 3] t[3:] #[3, 74, 15] t[:] #[9, 41, 12, 3, 74, 15] - 문자열 자르기와 동일하다 3. 리스트 메서드 x = list() type(x) # dir(x) ['append', 'count', 'extend', 'index', 'insert'....] #많지만 생략 4. 리스트를 처음부터 만들기 stuff = list() stu..
-
[Python] 3-1 리스트의 개념 및 특징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14. 12:44
1. 프로그래밍 -알고리즘 :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일련의 규칙 또는 단계 -자료구조 : 컴퓨터에서 자료를 구성하는 특별한 방법 -지금까지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배웠다. 이제 자료구조에 대해 배워보자 2. 컬렉션이 아닌 것은? -대부분 변수는 한 값만을 갖는다(새 값을 대입하면, 이전 값에 덮어씌워 진다) 3. 리스트는 컬렉션의 일종 -컬렉션은 하나의 '변수'에 많은 값을 넣을 수 있다. friends = [ 'Joseph', 'Glenn', 'Sally'] carryon = [ 'socks', 'shirt', 'perfume'] -먼저는 컬렉션중 리스트에 대해 살펴보자. 4. 리스트 상수 print([1, 24, 76]) #[1, 24, 76] print(['red', 'yellow', 'blue'..
-
[Python] 2-2 파일 읽기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13. 16:06
1. 시퀀스로써 파일 핸들 xfile = open('mbox.txt') for cheese in xfile: print(cheese) -읽기용으로 열린 파일 핸들은 파일의 각 줄에 대한 문자열의 시퀀스(순서)로 볼 수 있다. -for문을 사용하여 시퀀스를 반복하여 돌 수 있다. -시퀀스는 정렬된 집합임을 기억하기 -쉽게 말해 cheese가 파일의 한줄씩 받아와서 출력해준다고 보면 되겠다. 2. 파일 *전체*를 읽기 fhand = open('mbox-short.txt') inp = fhand.read() print(len(inp)) #94626 print(inp[:20]) #From stephen.marquar -파일 전체(개행 문자 포함 전체)를 하나의 문자열로 읽는 것 -10만 줄은 괜찮지만 그이상 1..
-
[Python] 2-1 파일 열기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13. 15:06
이 단원에서 그동안의 노력이 진가를 발휘합니다. 모두 힘내세요! 1. 파일열기 -open() 함수가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. 2. open() 사용 ex) fhand = open('mbox.txt', 'r') 핸들 = open(파일명, 모드) -파일을 조작하는데 쓰는 핸들을 반환한다. -파일명 에는 문자열이 들어간다. -모드에 매개변수를 넣는 것은 선택사항이며 파일을 읽으려면 'r'을 파일에 쓸려면'w'를 입력 한다. 3. 핸들이란? -핸들은 파일에 접근 하는 창구라고 할 수 있다. fhand = open('mbox.txt') print(fhand) # 4. 개행 문자 stuff='Hello\nWorld!' stuff #'Hello\nWorld!' print(stuff) #Hello #World! stuf..
-
[Python] 1-2 문자열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들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8. 21:54
오늘은 배울 게 많네요 호흡을 깊이 들이마시고! 들어갑니다 1. 문자열 슬라이싱 문자열: M o n t y P y t h o n 인덱스: 0 1 2 3 4 5 6 7 8 9 10 11 s = 'Monty Python' print(s[0:4]) #결과: Mont print(s[6:7]) #P print(s[6:20]) #Python -문자열을 쪼개서 가져옵니다. -s[0:4] 의미는 0번 인덱스에서부터 4번 인덱스까지인데 두 번째 숫자는 ~까지 이지만 포함하지는 않는다. 다시 말해 실제 출력되는 숫자는 0번 인덱스에서 3번 인덱스 까지라는 말이다. -두 번째 숫자가 마지막 인덱스 너머를 가리키는 경우 문자열의 마지막에서 멈춘다. 예제에서 s[6:20] 이 그와 같은 경우이다. s = 'Monty Pytho..
-
[Python] 1-1 문자열05. Programing Language/[Python] 1. 파이썬 자료구조 2020. 1. 8. 20:57
2단계 과정으로 넘어왔네요 모두들 화이팅 입니다. 문자열에 대해서 배워 보겠습니다. 문자열은 인덱스가 있습니다. b a n a n a 0 1 2 3 4 5 바로 예시 갑니다. 1. 문자열의 인덱스 fruit = 'banana' letter = fruit[1] # 1번 인덱스 글자를 뽑아오는 것. print(letter) # 결과: a x=3 w= fruit[x - 1] print(w) # 결과: n 2. 문자열의 길이를 찾는 함수 len fruit = 'banana' print(len(fruit)) #결과: 6 -문자열을 찾을 떄 일반적인 상황에서 while 루프보다 for루프를 선호한다. 3. 문자열 에서 단어의 개수 찾기 word = 'banana' count = 0 for letter in word..